본문 바로가기
연금, 세금 준비

7가지로 쉽게 풀어보는 연금 이중과세 방지법

by 꿈꾸는 강화백(Simba) 2025. 6. 7.

7가지로 쉽게 풀어보는 연금 이중과세 방지법

퇴직 후 노후를 대비해 연금을 준비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. 그런데 어렵게 모은 연금에 세금이 이중으로 부과된다면 억울하겠죠. 실제로 많은 분들이 퇴직금이나 연금 수령 시, "왜 또 세금을 내야 하죠?"라는 의문을 가지게 됩니다. 이 글에서는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연금 이중과세가 무엇인지,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제도와 방법을 7가지 포인트로 친절히 안내해 드립니다.

  1. 연금 이중과세란 무엇인가요?

연금 이중과세란 퇴직소득에 대해 이미 세금을 납부했는데, 나중에 연금으로 수령할 때 또 세금을 부과하는 것을 말합니다. 이중과세는 국민의 세 부담을 과도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, 정부는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제도를 마련해 두었습니다.

  1. 퇴직소득세는 이미 납부했는데 왜 또 과세되나요?

퇴직 시 일시금으로 받는 퇴직금은 퇴직소득세가 부과되며, 이후 연금계좌에 이체하면 과세이연이 됩니다. 하지만 이 연금을 나중에 수령할 때는 '연금소득세'가 다시 부과됩니다.

결국 같은 퇴직소득에 대해 두 번 과세되는 셈이므로, 이를 보완하는 제도가 필요합니다.

  1. 이중과세를 막기 위한 '연금계좌 세액공제와 연금소득 분리과세 제도'

정부는 이중과세를 막기 위해 퇴직소득을 연금계좌(IRP나 연금저축)에 이체한 경우,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연금 수령 시 낮은 세율로 분리과세하거나, 일정 금액까지 비과세 혜택을 줍니다.

예를 들어 IRP 계좌를 통해 퇴직금을 이체하고, 55세 이후에 연금 형태로 수령하면 3.3%~5.5%의 낮은 연금소득세율만 적용됩니다.

  1. 연금 수령 시 이중과세 방지 조건

반드시 퇴직소득을 연금계좌로 이체해야 하며,

55세 이후에 일정 기간(5년 이상) 분할하여 연금으로 수령해야 합니다.

이 조건을 지키면 일반소득세율(6%~45%) 대신, 낮은 연금소득세율(3.3%~5.5%)을 적용받게 되어 세금을 덜 낼 수 있습니다.

 

55세 이후 연금 수령 시

55~69세: 5.5%

70~79세: 4.4%

80세 이상: 3.3% 이 연금소득세율이 적용됩니다.

 

연금소득이 연간 1,200만~1,500만 원 이하인 경우 → 위 저율이 적용되어 절세 효과 충분합니다.

 

연간 1,500만 원 초과 시에는
→ 분리과세(16.5%) 또는 종합과세 선택 가능하며,
→ 종합과세 시 다른 소득과 합산되어 최대 49.5%의 누진세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

  1. 실제 사례로 보는 이중과세 방지 방법

사례) : 이대훈 씨는 60세 퇴직하면서 퇴직금 1억 원을 수령했습니다. 그는 이 돈을 IRP 계좌로 이체하고, 5년간 나누어 연금으로 수령하기로 했습니다.

 

이 경우: 퇴직 당시 퇴직소득세는 이미 납부했지만,

연금 수령 시 연금소득세는 낮은 세율(3.3%~5.5%)로만 부과됩니다.

즉, 퇴직소득에 대한 세금 부담을 줄이고, 과도한 이중과세를 피할 수 있는 것입니다.

  1. 주의할 점: 중도 인출 시 일반과세 대상이 됩니다

연금계좌에서 연금 외 목적으로 중도 인출하거나, 55세 이전에 인출하면 이중과세 방지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.

이 경우, 기타 소득세 16.5%가 부과되거나 일반소득세율이 적용되어 손해를 볼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.

 

마무리 : 중장년, 퇴직자에게 전하는 따뜻한 조언

연금은 단순한 저축이 아니라 노후의 삶을 지켜주는 소중한 자산입니다.

복잡한 세금 제도 때문에 포기하지 마시고, 기본적인 이중과세 방지 제도만 잘 활용해도 큰 차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.

전문가의 도움을 받거나 공신력 있는 정보를 참고하여, 노후 연금 설계를 꼼꼼히 하시길 바랍니다.

여러분의 노후가 보다 든든하고 따뜻해지길 응원합니다.